"

명상컬럼

NO1작성일 : 2015-11-11 오후 10:40
제목
89.있지도 않는데 있다 하네
작성자
관리자
파일
IMG_3856_Crop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 자리에 앉아계신 여러분들이야말로 이 도량의 주역 중에 주역이십니다.

 

오늘은 '金剛經의 世界' 를 주제로 법문을 합니다. 法門은 셋으로 요약하여 진행될 것입니다.

 

그 하나는 '金剛經과 삶' 입니다.

삶과 금강경, 금강경과 삶. 이 두 키워드가 쌍벽을 이룹니다.

이 때 여러분의 마음 속에서는 금강경이 더 중요한가요, 삶이 더 중요한가요?

헷갈리죠?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세요. 여러분들은 金剛經을 몰라도 잘 살아 오셨잖아요.

그래서 삶이 경전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저는 이 세상 70억 인구가 금강경 없이도 살아 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금강경보다는 99.99%로 삶이 더 중요합니다.

 

경전은 없더라도 살 수 있어요.

그러니 여러분들이 경전 이전에 자신의 삶을 1순위로 생각하셔야합니다.

경전도 물론 중요하지만 우리의 삶,소중한 삶 위에다 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삶이 중요하다는 마음을 가지세요.

삶이 중요하기 때문에 금강경이 중요하구나 하고 깨닫게 되실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세상 사람들 삶을 觀察해 보세요.

여러분들 자신의 삶을 관찰해 보세요.

여러분들은 그나마 이 도량에 나들이 하면서

잘 사는 方法을 배웠기 때문에 삶의 質은 많이 높아져 있을 겁니다.

 

그러나 경전을 모르고 그냥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大部分 習慣的으로 삽니다.

습관적으로 살면 어때요? 습관적으로 살면 거의가 지옥 쪽으로 달려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經典, 智慧의 가르침이 필요합니다.

意識水準 낮은 삶을 '중생 놀음'이라 부릅니다. '고통이 있는 사람' 을 衆生이라 합니다.

 

금강경과 삶이라는 두 키워드를 놓고 볼 때 '삶이 絶對的으로 重要하다' 는 事實을 받아들임과

同時에

'내 삶이 제대로 되려면 경전 말씀,성자들의 말씀을 배우고 익혀야 되는 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 그것이 1박자입니다.

 

이제 그 둘은 중생의 삶이란 무엇이냐를 이해해야 합니다.

衆生의 삶은 不安定하고 不安하고 苦痛이 많습니다.

이러한 중생의 삶이 있기에 경전이 생겨 난 것이지요.

70억 인구 전부가 이러한 衆生心을 넘어선 聖者라면

세상의 모든 경전들은 필요가 없게 되겠지요.

 

하지만 大部分의 사람들이 不安定한 삶을 살기 때문에 성자들의 가르침이 생겨난 것입니다.

그러면 不安定한 삶이 뭔지 理解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여기다가 그림을 하나 그려볼게요. 이것은 니르바나입니다.

니르바나라는 말은 苦痛이 完全히 사라진 완전한 삶을 말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니르바나의 마음狀態'로만 存在하지 못하고 墮落을 하게 됩니다.

타락 이전의 니르바나를 無心, 無爲, 極樂,天國, 太極, 太虛, 道, 無心淸淨,

깨달음 등등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완전한 것'을 指稱하는 단어는 여기에 다 들어갑니다.

 

이를 국어사전 말로 바꿔놓으면 '槪念 以前' 입니다.

'槪念 以前' 이라는 말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槪念 以前'의 '意識 狀態'가 니르바나, 극락,천국, 태극, 깨달음 등등입니다.

 

 

여러분들의 삶을 돌아보세요.

한결같이 다 '槪念 놀음'을 하고 있는 삶입니다.

나요, 너요, 내 가족이요, 내 집이요, 내 회사요, 등등 槪念을 쓰지 않으면 못살 정도로

무수한 '槪念의 삶' 을 삽니다. 곧 槪念이 前提된 삶이 되어버립니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그럼 '개념 이전의 세상' 은 어떠할까요?

우리들의 삶에서 窮極에는 돌아가야 할 삶은 '개념 이전의 삶'이요, '그냥 있음의 삶'입니다.

 

'그냥 있음 삶/자리'는 '無心한 자리'입니다.

그 자리는 내 마음 속에서 一切의 槪念이 사라져

無心한 意識 상태,無心한 마음 상태가 되는 것이지요.

이리하여 一切의 걸림이 없이 깨끗하고 고요하고 평화로운

'虛空과 같은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槪念의 삶 以前' 으로 돌아 갈 수 있으면 좋겠지요.

그러나 여러분은 無心으로 있지 못합니다.

槪念으로 '내가 있다, 네가 있다, 이것이 있다, 저것이 있다.' 分別하면서

줄기차게 槪念에 떨어지는 삶을 삽니다.

그러면서 '槪念 살이'를 當然히 괜찮은 삶이라고 生覺하는 것입니다.

 

'있다' 고 생각하고 여기는 것만도 허물인데 그보다

더 깊은 늪으로 墜落(추락)하면서 '좋다, 싶다, 썅' 합니다.

여러분들도 한 번 생각해 보세요. 모두 다 그러고 있을 것입니다.

 

槪念 以前의 無心한 狀態로 있지를 못하고

'있다', '좋다', '싶다', '썅' 하는 개념 살이 삶을 수없이 살고 있지 않습니까?

'聖者의 삶'은 '있다', '좋다', '싶다', '썅' 하는 '槪念의 삶' 에 걸려 들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여러분들은 석가모니와 같은 성자들은 '나', '너', '이것', '저것' 등의

槪念을 쓰지 않는다면 어떻게 말을 할 수 있을까 하고 의아해 할 것입니다.

 

이 대목에서 金剛經이 날카로운 答을 提示합니다.

그것은 '즉비시명(卽非是名)' 이라는 構造의 가르침입니다.

금강경에 97회 정도 나오는 말씀입니다.

 

卽, 컵卽非컵是名컵, '컵이란 컵이 아니며, 方便上 컵이라 할 뿐이라' 는 構造의 말씀입니다.

부처님이 "아난아!" 하고 시자를 부릅니다. 그러나 부처님 마음/의식 속에서는

'아난' 을 實體視 하지 않기 때문에 '아난' 에 걸리는 마음/의식이 없습니다.

 

왜냐 하면 '아난卽非아난(아난이 아난이 아님을)' 임을

아난이 固定되고 不變하는 實體가 아님을 깨닫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아가 "아난아!" 라고 부르시지만 이것은 '시명(是名)아난' 이라,

삶의 便利를 위해서 方便上 "아난아!" 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곧 聖者들은 億萬 가지 槪念/觀念을 쓰되

宇宙萬物 그 어떤 것도 固定되고 不變하는 實體性이 없음을 깨닫고 있기에

便宜上 方便上 槪念을 쓰지만 그것에 걸리지 않고 쓰는 것입니다.

 

'있다' 는 槪念은 '實體思考(무언가가 다른 것과 區別되면서 있다고 生覺함)' 요,

'좋다' 는 槪念은 '價値思考' 이며, '싶다' 는 槪念은 '欲求思考' 요,

'썅' 이라는 槪念은 싶은 대로 欲求대로 되지 않음으로 해서 일어나는 '忿怒思考' 입니다.

 

있지도 않은데 '있다!' 하고,

좋다고 할 만한 것도 아닌데 '좋다!' 하니 어리석음[치(癡)]이,

'있다-좋다' 다음에 '싶다' 하니 欲望 欲求[탐(貪)]이,

욕망하는 대로 되지 않아 분노[진(瞋)]가 일어납니다.

 

이 心理的인 메커니즘을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 이라 합니다.

이 탐진치 삼독을 밑바탕으로 하여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行爲을 중생의 삶이라고 합니다.

 

 

그 셋은 중생이 중생심을 벗어나려면 어찌해야 하나입니다.

바로 그 代案이 금강경삼요(金剛經三要)입니다.

금강경을 잘 살펴보면 셋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모든 衆生을 다 濟度하리라고 서원하는 대원(大願),

둘째는 六波羅蜜의 삶을 사는 대행(大行),

셋째는 九類衆生을 다 濟度하겠다고 發願하고 六波羅蜜을 닦되

상(相 : 槪念)에 떨어지지 않으면서 닦는 즉비시명(卽非是名)의 길입니다.

 

여기에서 특히 유념해야 할 것은 첫 번째와 두 번째입니다.

大乘의 시대에는 지극히 당연한 길이지만,

大願과 大行에 相應하는 마음의 태도가 어떠해야 하는가 하는 점입니다.

 

바로, 즉비(卽非)요, 파상(破相)이요,무유정법(無有定法)이요,

무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無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입니다.

 

모든 槪念을 必要에 따라 쓰되

모든 개념 앞에 그 개념을 바로 否定해버리는 즉비(卽非)를 붙여야 합니다.

 

'나' 라 했으면 바로 '卽非나(바로 나가 아님)' 에 깨어있어야 하며,

'컵' 이라 했으면 바로 '卽非컵' 으로 깨어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事實로 여겼던 컵도 나도 지금 여기 없어요.

그럼 '컵 자체' 를 본다고 생각하고 精神을 集中해 보세요.

무엇인가가 實體思考로 머릿 속에 들어왔을 때는 그 存在 자체(自體)가 들어온 것이 아니고

自身의 '主觀的인 認識의 틀(固定觀念)'에 依해 投映된 投影物 現象,表象物이

宇宙虛空에 드러난 幻影에 불과합니다.

 

이런 自覺이 드는 사람은 벌써 깨달음의 자리에 선 것입니다.

컵이라 하면서 컵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그러면 컵 자체[物自體]는 무엇일까요?

이 때 그 自體는 永遠히 잡을 수 없다는 事實을 깨닫는 瞬間

一切의 主客(相對界)로부터 自由로워져버리는 것입니다.

 

이처럼 금강경은 永遠 絶對의 解放을 알으켜주는 가르침이므로

금강경을 수지하는 공덕이 이 몸을 항하사 모래알 수 만큼 獻身해버리는 공덕보다 더 높다는 것입니다.

 

이 世上의 모든 것들을 憐憫之情으로 끌어 안으면서

'無限宇宙에 있는 一切 九類衆生을 濟度하리라!' 를 간절한 마음으로 誓願하면서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의 자아(自我)에 떨어지지 않는 마음으로

布施, 持戒, 忍辱, 精進, 禪定, 智慧의 六波羅蜜을 닦고 또 닦아나가시기 바랍니다.

 

관세음보살

 

- 용타스님 _()_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