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상컬럼

NO1작성일 : 2015-11-12 오후 07:30
제목
94. 인생이 내게 술 한 잔 사주지 않는다고 느껴질 때
작성자
관리자
파일

-7 photo. 영화 <톨스토이의 마지막인생> 중에서

 

 

<인생이 내게 술 한 잔 사주지 않는다고 느껴질 때...>

 

“삶의 궁극적 목적은 행복이다.”

아무도 이의를 제기 하지 않을 이 명제에 대해 감히 의심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자기모순이 좀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나의 삶을 조용히 관조해보니 솔직히 나는 그냥 살아가고 있을 뿐 화두를 놓지 않는 참선 수도자처럼 매 순간 궁극의 목적을 의식하며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을 부정 할 수 없습니다. 나는 밥 먹을 때 그냥 밥 먹고, 얘기 할 때 그냥 얘기하고, 가슴을 울리는 노래 나오면 슬픔에 흠뻑 빠져들고, 조금 급하면 허둥대고, 싫지만 해야 할 일이 생기면 참고 하느라 애를 쓰고, 걱정거리가 생기면 몰두하고,.. 그렇게 행복지향과는 거리가 멀게 살아가다 문득 삶이 뭐지 라고 느껴질 때서야 비로써 행복을 생각하곤 합니다. 관념적으로 생각해보면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 행복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명제가 무색하리만큼 나의 실제 삶은 마치 목적이 없는 듯 흘러갑니다. 행복과 무관하게 끊임없이 굴곡을 되풀이 하며 살아지는 기계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내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 행복이라고 말해도 되나?

나는 정말 모순된 삶을 살고 있는 걸까?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다행스럽게도 행복 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보면 저의 이런 모습이 크게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라고 하네요. 연구에 의하면 행복은 인간을 작동시키는 동기이자 방향일 뿐, 목표달성의 문제가 아니라고 합니다. 어느 순간 충족이 된다 하더라도 그 행복감은 그리 오래 가지 못하고, 곧 또 다른 행복조건을 찾아 헤매며 끊임없이 이고득락을 반복하는 것이 인생이라고 합니다. 문호 톨스토이도 그의 인생론을 통해 이 점을 명확히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궁극적 행복이란 무엇이며, 그 길은 어디에 있을까?

학자들의 연구결과와 톨스토이의 성찰이 위안이 될 수는 있으나 아쉬움이 남습니다.

인생론을 뛰어넘는 행복의 길은 없을까?

오늘도 나는 삶의 길목에 서서 잠시 행복을 생각해봅니다.

성자들은 어떤 행복의 길을 가셨을까?

그 분들의 삶에는 정말 고통이 없으셨을까?

그 분들이 누리신 행복은 어떤 느낌이었을까?

해탈, 니르바나는 어떤 상태일까?

그 분들은 어떻게 마음을 다루셨을까?

이런 생각에 몰두하다 보니 생각이 다음과 같이 흘러갔습니다.

성자들의 삶에도 고통이 있었을 것이다. 추우면 괴롭고 더우면 힘들었을 것이다. 왜? 그분들도 사람이니까. 사람인 이상 고통을 완전히 벗어난 삶은 없다. 성자들이라 해도 이고(離苦: 고통을 벗어남)의 해결책을 찾은 것이 더 절실했을 것이다. 성자들도 우리와 똑같은 삶을 살 수밖에 없지만 다만 깨달음으로 인해 이고득락에 대처하는 마음가짐이 우리와 달랐던 것 아닐까? 어떤 마음가짐이셨을까? 나는 인간으로서의 한계와 실존적 삶에 기초하여 삶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문득 모든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너무나 간단하고 명쾌한 사실이 생각났습니다. 모든 인간은 죽음을 피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 인간이 피할 수 없는 것은 죽음뿐인가? 아니다. 죽음이 그렇듯이 삶도 우리가 어찌 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태어남이 그랬고 사는 동안 일어나는 모든 일이 다 그렇다.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은 거부 할 수 없는 아주 복잡한 힘의 연기적(복합적) 작용으로써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다. 그것을 사람들은 운명이라고 부른다.

운명적이라 해도 그 삶에는 즐거움과 고통이 함께 있지 않은가? 삶이 즐거울 때 그 행복을 온전히 누리듯이 그렇지 않을 때도 온전히 수용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을까? 좌절 실패 분노 근심 걱정 등으로 삶이 힘들거나 인생이 내게 술 한 잔 사주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도 그 괴로움을 벗어나 천국으로 가는 묘수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이고득락의 실존적 문제에 직면하여 만큼의 해결을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인간다운 행복의 길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삶을 수용하는 것, 삶에 대한 절대 복종에서부터 행복은 시작된다.

그리고 짧지 않은 나의 인생, 그 동안 절 찾아 교회 찾아 강연도 듣고 책도 읽고 또 직접 체험하면서 쌓여온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모든 괴로움의 근원이 삶을 바라보는 잘못된 생각, 착각에 있다. 그러므로 있는 그대로의 삶을 수용하고 바로 보는 것, 이것이 깨달음(enlightenment)이다. ‘삶의 개별적 주체자로서 ‘나’를 보던 관점, 삶을 대상으로 보던 관점에서 벗어나라. 삶은 절대 자체이므로 변하지 않는다.’라는 가르침이 생각나며 숙연해졌습니다.

거듭 생각 할수록 삶은 수용이 전부인 것 같습니다. 무위(無爲)입니다. 삶의 모든 즐거움과 고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자. 죽음을 피할 수 없듯이 삶 또한 수용하자. 삶은 강물처럼 흘러가면서 기쁨이 고통을 가져 오기도 하고, 고통이 즐거움을 불러오기도 하지 않던가? 그러니 여여하게 삶을 수용하는 것 말고 이고득락의 파도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인류의 지성들이 갈파한 대로 끝없는 이고득락의 반복이 삶의 실존적 모습이니 지족과 감사로 생명의 축복을 온전히 누리고, 절대 복종의 자세로 삶의 고통을 수용하는 길 밖에 없는 것 아니겠는가? 딱히 신비로울 것도 없는 이 명쾌한 결론에 도달하니 그냥 있음 자체로 무겁던 삶이 놓아지며 한층 가볍게 느껴지네요. 자유로움과 깊은 안락감이 스며드네요.

글. 정안님 (kafa7504@naver.com)

 

 

 
 
The Last Staion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