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후기

NO1작성일 : 2015-11-13 오후 09:34
제목
[후기] 11월 월정기강좌 후기-인과
작성자
관리자
파일

IMG_0025

큰스님의 월 정기강좌 참석하는 일에 난감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그간 온라인으로 ‘뇌 과학’ 연수를 받고 있었는데 그날이 바로 출석 연수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경인교대에서 연수를 받아야 하는데 조금 늦기로 작정하고
<행복마을 동사섭 서울 센테>로 향했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중요한 것도 <큰스님 월 정기강좌>보다는 덜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큰스님의 법문을 듣고 갈 수는 없었습니다.
출석연수를 마저 받지 않으면 연수 수료에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큰스님 강좌의 오프닝만 하고 떠나기로 했습니다.

IMG_0031

IMG_0010

IMG_0033

IMG_0063

역시 <행복마을 동사섭 서울 센터>입니다.
깨자봉 친구들은 아침 일찍부터 분주하게 움직였습니다.
센터 안은 이미 구수한 커피향과 국화차 등 우리차의 향기가 적절히 섞여 훈훈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처음 온 분들도 이 분위기에 금세 마음이 놓이고 안도감을 가질 것 같은 분위기입니다.
거기에다 따뜻한 커피거나 차 한 잔 마시며 누군가와 대화를 나누게 되면 금상첨화가 될 것입니다.

IMG_0052
IMG_0077
IMG_0008

그런데 이번에는 선혜님께서 강릉 퇴곡리에서 모과를 가져오셔서 가을을 전해주시어 자리가 더욱 풍성했습니다. 빛깔도 선명하고 향도 깊고 화사해서 책상 위에 놓아두면 한 방 가득 모과 향으로 차고 넘칠 듯싶습니다.

IMG_0041가는 가을을 아쉬워하는 자두님의 센스 넘치는 ‘가을아, 가지 마’ 문구는 재치가 넘쳤습니다.
<행복마을 동사섭 서울 센터>는 헤아리지 않아도 되는, 덩어리로 마음을 전해주는 힘이 있습니다.

 

2014_nov_s

법문은 월정기 강좌일에 직접 듣지 못하고 나중에 홈페이지 ‘월정기 강좌’ 동영상을 보고 정리한 것이니 양해 바랍니다.

이번 11월의 주제는 <인과론>입니다. 큰스님께서는 ‘인과(因果)’는 상식적이라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확인해 보니 많은 정보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고 말씀하셨고
그러면서 ‘인과’가 참으로 단순하지 않다 하십니다.
그러시면서 인과는 연기(緣起)와 같이 쓰인다 말씀하셨습니다. 인과의 뜻을 넓히면 그것이 연기라는 말씀이셨고 그것은 석가모니와 관계가 깊다 하셨습니다.
석가모니께서는 35세 때 보리수 하에서 큰 깨달음을 얻으셨는데 그것이 ‘연기(緣起)’입니다.
즉 ‘인과’는 ‘연기’인 것인데 그것은 석가모니께서 대각하신 것의 99%입니다.
그렇다면 왜 100%라 말씀하시 않으신가?
그것은 감싸 안고 있는 덕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IMG_0101

tea3

‘연기(緣起)’는 부처님의 깨달음 전부를 얘기할 수 없다 하나 부처님이 보리수 하의 깨달음은 연기가 전부입니다.
연기라고 하면 이야기가 확대되니 시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말씀하셨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는 중생의 눈에 비친 시간관입니다.
이것은 중생 놀음인 것입니다. ‘호상즉연기’ 차원으로 가면 과거, 현재, 미래는 ‘절대 현재’로 있는 것이라 말씀하시고
이를 확실히 알아야 하는데 파악하기 어렵다 말씀하셨습니다.
‘호상즉연기’는 가르침과는 별도로 선정력까지 들어가서 직관으로 느껴야 한다 하셨습니다.
‘호상즉연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의 예를 무당으로 드셨습니다.

IMG_0057

호상즉 연기는 산할머니 이야기에서 알 수 있습니다.
산할머니는 옆집 길동이 아버지가 3일 후 죽는다는 그 죽음을 현실로 보았다 말씀하십니다.
이는 시간 차원이 아닙니다. 인간 차원이 아닌 다른 차원에서는 의미 없는 차원이 있습니다.
또 의상조사 법성게 속에서 시간성 초월 차원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인(因)이 있고 시간이 지난 다음에 과(果)가 있다 하는데
사실은 과(果)가 원인이 되고 인(因)이 나중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런 세계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으며 조금 노력하면 인식할 수 있기도 합니다.

‘연기가 바로 인과다’는 넓은 의미이고 좁히자면 ‘공간적 연기’보다 ‘시간적 연기’로 접근해야 합니다.
‘시간적 연기’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천하의 모든 것은 그것을 그것이게 하는 원인이 있다는 문장에서 평이한 것에서 삶의 원리를 발견하고 그 원리를 삶속에 활용하고 사는 것입니다.
시간적 연기는 화성 등 외계에서는 맞아 떨어지지 않습니다.
만고의 진리일 것 같은 것은 이 세상에서나 통하는 연기(緣起)입니다.
그 외의 밖은 열려 있습니다.
즉 비논리적인 것이 통할 수 있는 곳에서 시간성 연기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IMG_0014

현실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행복과 불행으로 나타납니다.
이것들이 현실 속에서 드러나는 현상에는 원인이 필히 있습니다.
우리는 이 현실이 행복이기를 원합니다.
같은 값이면 해탈되고 건강하고 부자가 되고 장수하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원인이 있으면 됩니다.
이것이 인과론입니다. 그런데 그 원인의 중심에는 ‘나’가 있습니다.
그 원인의 시스템은 복합적이긴 하나 그 핵심에는 ‘나’가 있습니다.
‘나’가 현실을 끌어오는 주원인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의 현실은 누가 끌어왔나요?
‘나’가 끌어왔습니다. 즉 ‘나’는 모든 것의 원인입니다. 그러니 나의 현실을 남의 탓으로 돌리지 말아야 합니다.
즉 내가 변해야 세상이 변한 것입니다. 내가 원인의 원인이기 때문이지요.
나는 절체절명으로 의미 있는 어떤 것인데 그 ‘나’는 천하 현상의 원인입니다.

일체유심조입니다. 일체는 우주이고 우주는 내 마음이 만든다는 사실입니다.

 IMG_0058

인과 차원에서 내가 어떻게 해야 하느냐를 사유해야 합니다.
인과중중의 원리는 내 행복과 불행의 원인자, 즉 주원인인 자는 ‘나’이겠지만
마음가짐은 ‘우주’ 탓으로 돌립니다.
내가 불행한 이유를 상대에 두면 힘듭니다.
그러니 윤리 차원에서 원칙을 정하면 좋습니다.
나의 행복은 네 덕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좋습니다.
삶의 윤리 하나로 일어난 현실의 원인자를 경우에 따라서는 세상에서 찾고
어떤 경우에는 나에게서 찾아야합니다.

내가 미성숙에서, 지혜롭지 못해서, 인간관계를 잘못해서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경사스런 일은 형제에게서, 스승에게서, 부모에게서 찾으면 좋습니다.
평소에 이렇게 연습하면 여러 가지로 좋습니다.
나와 상대와 갈등이 생겼을 때 그 원인자를 상대에게 두지 말고 나에게 두면 좋다는 말씀입니다.

IMG_0034

‘인과중중’ 연기의 원리는 내게 일어난 모든 현실은 중중한 현실에서 일어나기 때문이기에
네 탓이라 여길 수도 있지만 그렇게 여기면 불화가 일어납니다.
남에게 탓을 돌리지 말고 내 탓으로 돌려야 합니다.
‘이 놈아’ 그랬을 때 기분 상해하지 말고 ‘구나 겠지 감사’하십시오.
관계에서 갈등이 일어났을 때 네 탓으로 넘기지 말고 내 탓으로 여기십시오.

이런 현상이 발생했을 때, 두 가지 방향으로 풀 수 있는데 ‘밖 풀이’와‘속 풀이’입니다.
‘밖 풀이’는 ‘구나 겠지 감사’하는 것이고 ‘속 풀이’는 이놈아 소리를 들으면 마음에 갈등 구조가 만들어지며 화가납니다.
그 화는 ‘인(因)’에서 옵니다. ‘이놈아 해서’를 인으로 여기는 것이 나쁘지는 않으나
관계를 깨뜨리는 것이어서 그렇게 행동하면 관계가 틀어집니다.
그럴 때, 옳고 그름을 따지지 말고 대내적으로 행복의 결과가 나오고 관계측면에서 평화의 결과가 나오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 화의 원인은 길동이가 아니라 내 속에 화가 날만한 원인이 있어서 그랬다 여기는 것입니다.
화 날만한 원인은 이놈아 소리를 듣고 ‘없는 나를 있다’고 생각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없는 나’에 궁금증이 이시지요?
그러나 화의 원인은 ‘무한우주’입니다.
이러한 식의 인과론을 삶으로 옮기면 대내적으로는 지옥(고통), 대외적으로는 전쟁을 세트로 기억하여 피해야 합니다.

속풀이는 화의 원인을 ‘나’라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런데‘나’라는 생각이 만들어지면 사람에게 욕심이 생기고 공격성이 생깁니다.
욕구, 탐욕, 분노가 생기는 것입니다. 탐진치 3독입니다.

 IMG_0067

‘나(我)’는 ‘손 수(手)’에 ‘창 과(戈)’의 합성어입니다. 손에 창을 들었으면 누군가를 공격해야 합니다. 그래서 ‘나’로부터 벗어나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나 주변의 욕심, 분노가 증발합니다. ‘나’라는 것이 본래 없다는 깨달음이 최고의 깨달음이고 궁극적인 깨달음이니 그렇게 해야 합니다.
부처님은 보리수 하에서 연기법을 깨달았고 ‘나’가 없다는 것을 부수적으로 얻었습니다. 즉 연기(緣起)는 무아(無我)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곧 화의 원뿌리인 자아를 발견하고 그 자아를 없애야 합니다. 컵즉비컵 시명컵. 컵이 컵이 아닌 것을 알면 컵으로 하여 갈등이 없습니다.
그러나 생활 속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편의상 붙이는 것이 컵이라는 명칭입니다.

깨달음. 오(悟). 비전과 미션을 써보세요. 예를 들어 과(果)를 ‘미모’라고 한다면 인(因)에 ‘성형, 수심, 독서’라고 써야 할 것입니다.
가능하면 매일 써봐야 합니다. 적은 내용을 카톡이나 이메일로 스님께 보내고 늘 써보시기 바랍니다.
가능하면 명상적으로 쓰시고 오늘 떠오르는 것을 쓰십시오. 인(因)을 정리해서 쓰는 것이 먼저고 실천은 그 다음입니다.
실천 불가능할지라도 우선 쓰시고 실천하기 전에 마음가짐으로 가지고 있는 것도 50점을 줄 수 있습니다.
실천하면 더욱 좋겠지만 마음가짐을 갖는 것만으로도 좋은 것입니다.


IMG_0103

그리고 끝으로 돈망지족을 복습하셨습니다.

어떤 메시지는 100번 정도 강의를 듣고 50번 정도 메시지를 보내봐야 합니다.
나는 모두의 행복을 위해서 수심하고 화학하고 작선한다. 이것이 팔만대장경의 요약입니다.
평생 나는 나는 하고 사는데 나란 무엇인가 답의 수준을 높이라는 말씀을 하십니다. ‘없는 내가 세상을 산다’가 키워드입니다.
허무론이 아니고 있다고 개념화할 수 없습니다. 있다고 할 만한 것이 없음의 뜻입니다. 없는 내가 세상을 삽니다.
소리가 모순으로 들리는 것이지 뜻은 그렇지 않습니다. 아직도 뜻과 소리를 혼동하지 마십시오. 뜻이 완벽하니 말이 뜻을 제대로 갈파할 것이 없습니다.
성글고 불명료한 말을 이용할 뿐입니다. 무아인 내가 세상을 산다라고 할 때 세상을 사는 것의 레파토리가 네 가지입니다.
나는 모두의 행복을 위해서(大義) 나의 비전을 설정해야 합니다. 석가모니께서는 구류중생을 모두 제도하리라 서원하셨습니다.
안으로 수심 잘하여 마음천국 만들고, 밖으로 화합 잘하여 관계천국 만들고, 나아가 작선 잘해서 세상천국 이루리라.
미국 엘에이에서 법사들 만들어 처음으로 전했습니다.
그때 불교를 정리해서 알리려 했는데 5대 원리로 정리하였다.


IMG_0027

IMG_0116

IMG_0098

IMG_0070IMG_0075IMG_0081

돈망을 잡아야 합니다. 돈망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첫째가 ‘그냥 있는다’입니다.
눈이 있되 보지 말라. 귀가 있되 듣지 말라라는 말입니다. 개념 노릇하지 말라. 의지를 놓아버려야 합니다.그냥 있는다는 허공과 같은 무심함입니다. 무엇인가 구도라는 이름으로 발걸음을 멈춘 것입니다.일터로 가기 전에 그냥 있는다부터 하십시오. 이박자는 생각을 일으킨다입니다. 이 일물은 이미 넘치는 행복속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행복 타령을 하는 것이지요.

IMG_0020

나는 9천조 원의 행복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음은 무(無)값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현실성 있는 가격으로 만드니 3천조 원입니다. 몸값도 3천조 원입니다.
그리고 경험값도 3천조 원입니다. 그래서 9천조 원인 것입니다.
가족에 대한 감사함을 꺼내어서 자신이 이미 행복속에 있음을 느끼십시오.

IMG_0023

큰스님 법문은 언제나 울림이 큽니다.
인과론 속에 그렇게 큰 우주가 꿈틀대고 있으리라곤 상상하지 못했는데
또 다시 새로운 세상을 보여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고맙습니다.

 후기글. 한뜻님 

댓글

목록